본문 바로가기
투자공부

소비상한제에 대한 생각

by 건강과 감사 2024. 2. 14.

 유튜브를 보다가 소비상한제라는 개념을 접하게 되었습니다. 나날이 심해지는 빈부격차, 무분별한 소비로 인해 환경오염이 심해지고 있는 지구촌에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아이디어로 제시되었는데요. 저는 이러한 문제들의 해결에 기여할 수 있는 괜찮은 아이디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물론 엄청나게 타이트한 소비상한제를 실시하는 것은 반대입니다. 다만 1명이 100명, 나아가서는 1000명, 10000명의 소비를 하는 경우도 더러 있으니까요. 제 생각에는 기본소득제와 연동해서 적용되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전세계인이 기본소득제를 가지는 것, 기본소득제에 대해서는 의견이 많지만 일단 이 글에서는 소비상한제에 조금 더 집중을 해보겠습니다. 아무튼 미래 한국에서 전 국민이 월 80만원의 기본소득을 제공받게 되었다고 상상해봅시다. 그럴 경우 소비상한제는 월80만*1000이니까 사람 한명이 아무리 돈을 잘 벌어도 월8억 이상은 소비할 수 없는 거죠. 사람 1명이 아무리 잘 나도 사람 1000명보다 더 많이 소비할 수는 없는 겁니다. 이렇게 보니 월8억 쓰는 사람이 있으려나? 우리 나라에서는 그다지 소용이 없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전세계적으로 생각해보면 중동 인도 등 일부 나라에서는 월12억 이상의 소비를 하는 인물들이 있습니다. 그 사람들에게는 해당이 될 것 같아요.

 잘 와닿지가 않네요. 쉬운 이해를 위해 지금부터는 조금 더 예민할 수 있고 극단적인 생각을 해보겠습니다. 30년뒤 2050년, 인공지능이 보편화되고 발달하여 전인류는 사상최대의 생산을 이뤄냅니다. 하지만 빈부격차와 환경오염은 나날이 심해지고 수많은 갈등이 있은 후, 전인류는 기본소득제와 소비상한제를 시행하게 되었습니다. 성인 인간이라면 기본소득으로 월 1000달러(120~140만원)를 받게 되었으며, 누구든 월 100,000만 달러(1억2천~1억4천) 이상은 소비를 할 수 없습니다. 누구든 굶지 않게 되었고, 개인이 아무리 뛰어나도 100명 이상의 소비를 할 수는 없게 되었습니다.

 어떤 일이 일어날까요? 빈부격차와 소비를 줄여야 한다는 목적을 이룰 수 있을까요? 잠깐 생각해봐도 장점만큼 단점도 많을 것 같고, 무언가 빠진 게 있는 것 같다는 생각이 많이 들어요. 조금 더 고민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