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공부

샘 알트만 9000조 투자 유치? (feat. 현실적으로 가능할까?)

by 건강과 감사 2024. 2. 19.

 오픈AI CEO인 샘알트만이 인공지능 전용 반도체를 만들기 위해서 9000조 투자 유치를 계획하고 있다고 합니다. 9000조는 금액이 커도 너무 큰 것 아닌 가요 ㅋ 저는 처음에 이 기사를 접했을 때 가짜 기사인 줄 알았습니다. 그런데 여러 기사들을 읽다 보니 이 내용이 사실인 것 같더라구요. 이번 포스트에서는 샘 알트만이 왜 이렇게 큰 금액을 투자 유치하려는 것인지, 현실적으로 가능할 것인지 등에 대해서 인공지능과 함께 생각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샘 알트만 9000조 투자

  샘 알트만은 오픈AI의 최고경영자로, 인공지능 (AI) 칩을 개발하고 제조하기 위해 9000조원에 달하는 투자 유치를 추진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는 이를 위해 아랍에미리트 (UAE) 정부, 소프트뱅크, 미국 정부 등과 협력을 논의하고 있으며, AI 반도체 시장에서 엔비디아와 경쟁하려는 계획이라고 보도되었습니다. 

 

 - 아무래도 엔비디아가 독점하고 있는 새로운 무엇인가가 필요하다고 생각한 것일까요.

  2. 9000조가 현실적으로 가능할까?

  9000조원은 엄청난 규모의 투자금액입니다. 오픈AI의 샘 올트먼은 이 금액을 유치하기 위해 중동, 일본, 미국 등의 투자자들과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는 오픈AI의 인공지능 (AI) 반도체 개발과 생산을 위해 이 투자금을 필요로 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투자금이 현실적으로 가능한지는 아직 불투명합니다.  오픈AI는 아직 자신의 반도체 사업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공개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9000조원 투자가 실현될지는 시간이 지나야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아무래도 구체적인 계획과 내용이 발표되지 않았으니, 현실적으로 가능한지에 대해서는 물음표가 많습니다.

  3. 굳이 인공지능 반도체를 만들어야 하는 이유는?

 오픈AI의 인공지능 반도체 사업은 다음과 같은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려는 목적이 있습니다.

 1) 인공지능 (AI) 알고리즘을 실행하는 데 필요한 컴퓨팅 성능과 전력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새로운 아키텍처와 공정 기술을 개발하고자 합니다. 현재 AI 알고리즘은 엔비디아의 그래픽처리장치 (GPU)에 의존하고 있지만, GPU는 AI에 최적화되지 않은 설계이기 때문에 성능과 전력 면에서 한계가 있습니다.

 2) AI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운영하는 데 필요한 소프트웨어 (SW) 도구와 플랫폼을 구축하고자 합니다. 기존의 AI반도체 사업들은 하드웨어 (HW) 개발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어, 컴파일러, 라이브러리, 가상머신, 컨테이너 등의 SW 도구가 부족하거나 호환성이 떨어집니다. 오픈AI는 자체 AI반도체와 함께 SW 도구를 개발하여, AI 개발자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3) AI의 미래를 바꾸기 위한 일반인공지능 (AGI)을 구현하기 위해, 현재의 AI보다 훨씬 더 복잡하고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반도체를 설계하고자 합니다. AGI는 인간 이상의 지능을 가진 AI로, 오픈AI의 궁극적인 목표입니다. AGI를 위해서는 기존의 AI 반도체보다 더 많은 데이터와 연산을 처리할 수 있는 반도체가 필요합니다. 

 

 - 인공지능 연산 처리를 위해서는 고사양의 반도체가 필요한 것 같습니다. 그리고 인공지능 전용으로 설계가 되면 더 효율이 좋을 것 같다는 이유도 있네요. 샘알트만이 왜 굳이 인공지능 전용 반도체를 만드려고 하는지에 대해서는 이해가 되는군요. AGI에 대해서는 다음에 또 공부를 해봐야 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