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공부

걸으면서 돈번다? M2E (move to earn) 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by 건강과 감사 2024. 2. 2.

'이 글의 정보는 참고사항일 뿐, 투자에 대한 모든 결정은 투자자의 몫임을 밝혀둡니다' 

 주4일 근무하게 되면 매주 놀러다닐 줄 알았는데, 월급이 생각보다 많이 줄어서 쉬는 날에 거의 집에만 있는 것 같아요. 돈 벌 수 있는 거 뭐 없나 알아보던 중에 걸으면서 돈 버는 어플에 대해 알게 되었습니다. 일단 오늘은 걸으면서 돈 버는 m2e, move to earn은 무엇인지 알아보고, 현재 인기 많은 m2e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일단 알아보고 나서 돈이 들지 않는 것, 그러니까 초기자본의 개념이 없는 것 위주로 실행해보려고 합니다.

 

 M2E (move to earn)

 M2E Move to Earn 줄임말로, 움직이면서 게임 수익을 얻을 있는 플랫폼을 의미합니다. M2E 블록체인 기술과 가상화폐, NFT 활용하여 사용자들에게 운동을 장려하고 보상을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M2E 종류는 다양하며, 걷기, 달리기, 자전거 타기, 운전하기 다양한 활동을 통해 수익을 얻을 있습니다.

 인기 많은 m2e는?

- 스테판 (Stepn): 걸음 수에 따라 GST라는 토큰을 지급하는 M2E 플랫폼입니다. GST 토큰은 상장된 거래소에서 현금화할 수 있습니다. 스테판은 게임 출시 당시에 하루 활성 이용자만 무려 30만명이상을 달성하였으며, 판매된 신발 수만 22만켤레를 찍었을 정도로 전 세계적으로 많은 인기를 얻었습니다. 하지만, 토큰 가격이 급락하면서 인기가 떨어졌습니다. -

 - 스텝앱 (Step App): KCAL이라는 토큰을 지급하는 M2E 플랫폼입니다. KCAL 토큰은 스테이킹, 운동화 구매 및 수리, 제작, 보상으로 활용됩니다. 스텝앱은 토큰 가치를 관리하기 위해 바이백, 소각, 스테이킹, 락업, 인센티브 등의 방법을 제공합니다.

 - 제노펫 (Genopets): 포켓몬고와 비슷한 컨셉으로, 사용자의 실제 움직임을 기반으로 캐릭터를 육성하고, KI라는 토큰을 얻을 수 있는 M2E 플랫폼입니다. KI 토큰은 제노펫 내에서 기본 통화로 사용되는 토큰이며, 추후에 제노펫 코인으로 스왑이 가능합니다. 이 외에도 드라이브 크립토, 바이크러쉬, 파이트아웃, 타마도지 다양한 M2E 플랫폼이 있습니다

'이 글의 정보는 참고사항일 뿐, 투자에 대한 모든 결정은 투자자의 몫임을 밝혀둡니다'